70억 달러 한화로 얼마 및 글로벌 비트코인 시장 폭락 트럼프 중국관세

누군가
By -
0

70억 달러 한화로 얼마 및 글로벌 비트코인 시장 폭락 트럼프 중국관세에 대한 이야기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최근에 비트코인 시장이 역대급 폭락이 있었는데 트럼트 대통령이 중국 관세 100% 이야기에 전체 코인시장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1. 70억달러 한화로 얼마?

70억 달러 수준의 금액은 한국돈으로 환율 1436원 (2025년 10월 10일 기준) 기준으로 약 10조 520억원 수준입니다. 


70억달러 한화로 얼마


최근 지속적으로 달러환율이 상승하고 원화의 가치는 낮아지면서 1400원 수준에서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미국의 관세정책에 더해서 지속적으로 글로벌 자산 시장 (주식 채권 비트코인 (암호화폐)) 시장등이 흔들리는 모습에서 달러가치는 올라가고 원화는 하락하는 현상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코인투자자들이 살펴보셔야 하는 부분에서는 테터 (USDT) 환율에 대한 부분이 있는데요. 김치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있고 2025년 10월 12일 현재 7% 수준의 김프와 함께 USDT 환율은 1530원 수준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거래가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 트럼트 중국관세 발표와 비트코인 시장 폭락

2025년 10월 1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100%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투자심리가 붕괴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들이 순식간에 폭락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Truth Social(트루스 소셜)에 “11월 1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도 통제하겠다” 고 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주식시장을 비롯하여 비트코인 가상화폐 시장 그외에 실물경제에 관련된 모든 자산들의 엄청난 혼란과 변동성 그리고 폭락장을 맞이했는데요. 


비트코인(BTC)은 이날 약 24시간 동안 10% 이상 하락하며 11만 달러 선 아래로 떨어졌고, 이더리움(ETH)은 16% 하락해 3,700달러 이하로 떨어졌으며, 이외에 모든 코인들이 엄청난 폭락으로 이어지면서 시장의 큰 혼란을 불러오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보면 이날 선물시장은 정말 대 혼란이라고 할 정도로 엄청난 폭락장에서 많은 손실이 발생하였는데요. 코인글래스(CoinGlass)는 대부분의 청산이 롱(매수) 포지션에서 발생 하였으며, 날 하루 동안 청산된 포지션 규모만 약 70억달러 (한화 약 10조 전후) 로 엄청난 자금들이 폭락장에서 큰 손실로 만들어지기도 하였습니다. 


실제로 이정도 폭락장은 시장 전문가들의 반응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폭락을 연상시킬 정도라고 하는데요. 코로나급 핵폭탄 그외에도 시장이 완전히 리셋되는 과정등등 여러가지 표현들을 경제뉴스에서 살펴볼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폭락장이 비트코인 시장에서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알트코인 시장은 완전히 붕괴됐으며, 레버리지가 모두 청산된 상태라고 할 정도로 알트코인시장에서는 더 큰 청산과 폭락이 이어지면서 시장 전반에 엄청난 공포를 불러오는 것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정치적 리스크와 과열된 시장이 동시에 폭발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응해 보복 관세와 수출 제한을 예고하면서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재점화된 것에 대한 반응이었는데요. 

이에 대해서 살펴보면 글로벌 위험자산 시장에 대한 부분들 중에서도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비트코인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이런 모습으로 볼 수 있으며, 이제는 과거와 다르게 비트코인 그리고 알트코인 시장들도 현재의 실물경제에 밀접한 연관성에 따라서 하락과 상승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3. 비트코인 시장 실물경제 관련 이슈

최근의 비트코인 폭락 사태를 보면, 암호화폐 시장이 더 이상 ‘독립된 디지털 자산시장’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살펴볼 수 있게 되었는데요.

과거에는 비트코인 그리고 알트코인 시장들이 각각의 이슈에 따라서 실물경제와는 또 다른 여러 이슈에 따라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던 반면에 이번 사건에서는 실물경제의 충격이 그대로 비트코인 시장에 흡수되면서 엄청난 폭락을 가져왔던 모습이었습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탈중앙화에 성공한 자산으로 전통 금융과는 별개로 움직이는 ‘탈중앙 자산’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제는 거의 그렇지 않다라고 볼 수 밖에 없는 이번 사건으로 비트코인을 자산시장에서 대하는 투자자들의 인식들도 변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제는 글로벌 실물경제의 흐름과 긴밀하게 연동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시장에 대해서 실물경제 흐름과 여러 부분들을 면밀하게 투자자들은 살펴보아야 하며 관련된 이슈에 따라서 더 많은 변동성이 있다는 점을 꼭 비트코인 투자시에 체크를 하셔야 할 것입니다. 


암호화폐가 이미 세계 자산시장의 일원으로서, 거시경제적 변수에 의해 가격이 좌우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관세 발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을 비롯하여, 미국의 관세정책과 기타 여러 국가들의 맞대응과 관세보복등 여러 상황등이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꼭 체크해야 할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더 이상 탈중앙화된 자산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거나 금리가 상승하면 암호화폐도 동시에 하락하는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여줄 수 있는 만큼 이런 부분에 대한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체크가 필요할 것입니다. 


* 코인정보사이트 암호화폐 가상자산 비트코인 시장관련 정보모음



댓글 쓰기

0댓글

댓글 쓰기 (0)